반응형

2023/06/12 2

[Oracle/DBeaver] 'Keep-Alive monitor' 에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. Java heap space (메모리 부족 오류) / 메모리사용량 / 메모리증설 / 메모리추가

DBeaver 에서 csv 파일로 데이터 가져오기를 하던 도중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. 대용량 테이블을 이관하거나, CSV 파일 작업을 할 때 Java heap space 부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 DBeaver 메모리를 증설하는 방법으로 위의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. [ Window 환경에서의 DBeaver 메모리 증설 ] 1. DBeaver 아이콘 마우스 우클릭 > 속성 대상에 -vmargs -Xms8192m 를 추가한다. (Xms는 DBeaver 가 구동시 확보하는 최소 메모리 사이즈이며, Xmx는 최대 메모리양이다. 8192m 으로 설정하면 최대 8GB의 메모리를 끌어다 쓸 수 있다.) 2. DBeaver의 메모리 사용량 보이게 하기. 상단의 윈도우(W) > 설정 > 힙 상태 표시(W)

Dev/Database 2023.06.12

[Oracle] TRUNCATE, DELETE, DROP 차이, 테이블 데이터 삭제

1. 테이블 구조는 남기고 데이터 전체 삭제 - DDL - 트랜잭션 로그에 한번만 기록되므로 성능이 DELETE보다 좋음 - ROLLBACK 불가능 - 테이블 용량이 초기화됨 TRUNCATE TABLE [테이블명]; 2. 테이블 존재 자체를 삭제 - DDL - 테이블 정의,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, 인덱스, 트리거, 제약조건 및 권한 모두 제거 DROP TABLE [테이블명]; 3. 조건절 이용해서 특정 행만 삭제 - DML - 테이블 용량 감소 X - 행 잠금(LOCK)을 사용하여 실행됨 - 삭제된 각 행에 대해 트랜잭션 로그를 기록하므로 TRUNCATE 보다 느림 - 인덱싱 된 VIEW 와 함께 사용가능 - ROLLBACK 가능 DELETE TABLE [테이블명] WHERE ROWNUM > 2 ;

Dev/Database 2023.06.12
반응형